다기관 임상데이터를 함께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각각 다른 데이터들을 표준화하여 CDM을 구축한다면, 국가/언어/기관에 상관없이 변환된 데이터가 같은 구조와 의미를 가지게 된다.
CDM(Common Data Model, 공통 데이터 모델)
다기관 임상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표준을 마련하고, 참여기관에 표준화된 데이터 분석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
CDW(Clinical Data Warehouse, 임상데이터웨어하우스)
임상연구를 위해 전자의무기록시스템 등에서 데이터를 추출.변환.통합해 다차원 분석을 할 수 있도록 구축한 임상연구용 데이터베이스
설계한 주체와 사용 목적에 따라 CDM 모델들은 다양하다. (OMOP CDM, PCORnet CDM, Sentinel CDM 등)
이 중, 에비드넷이 채택한 모델이 OMOP(Observation Medical Outcomes Partnership)-CDM이고, 이로써 임상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OMOP-CDM은 아래 그림과 같이 6개의 카테고리, 37개의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 특히 표준 임상 데이터(Clinical Data) 카테고리에는 환자정보(Person), 방문 발생 정보(Visit), 진단 발생 정보(Condition), 약물 노출 정보(Drug), 측정 정보(Measurement) 등 임상연구에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들을 포함한다.
https://blog.naver.com/evidnet/222774165598
피더넷® - CDM 구축 및 변환
다기관 임상데이터를 함께 분석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표준화가 꼭 필요합니다. 왜 데이터를 표준화해야 ...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