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 coefficient of variation
측정 단위가 다른 자료를 비교할때 쓰는 지표로, 변동계수 = 표준편차 / 평균으로 계산한다.
-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방법 중 하나
- 동등한 레벨로 비교대상 데이터를 맞추고 보자는 아이디어에서 나옴
- 평균이 커지면 표준편차도 커지기 때문에, 평균을 똑같이 맞춰주면 된다.
- 따라서, 변동계수 = 표준편차 / 평균으로 계산한다.
변동계수가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방법 중 하나인 이유?
- 위의 두가지 방식을 비교해 보면, 변동계수라는 것은 결국 "원래 데이터의 평균을 1로 만들었을때의 표준편차"를 의미하기 때문에 변동계수란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설명할 수 있다.
- 결국 평균을 1로 표준화한 것이기 때문
변동계수 활용 사례
- 아파트가 원룸에 비해 표준편차가 크니, 아파트의 전세 보증금이 훨씬 퍼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변동계수를 활용해 표준화를 하고 보니, 상대적으로 원룸 매물이 아파트보다 더 퍼져 있다고 표현할 수 있다.
논문에서 본 CV
Impact of Cholesterol Variability as a Potential Residual Cardiovascular Risk Factor in the Elderly: Large Multicenter Common Data Model Database Analysis (노인의 잠재적 잔여 심혈관 위험 요인으로서 콜레스테롤 변동성의 영향: 대규모 다기관 공통 데이터 모델 데이터베이스 분석)
** 혈청 콜레스테롤에 대한 '가변성'과 누적 노출(CEE로 확인 가능)은 심혈관 결과와 관련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환자의 주요 심혈관 사건(MACE)에 미치는 영향을 구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result
(1) "CV가 높을수록 심혈관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으나, CEE는 그러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2) "CV와 CEE 사이에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높은 CV/낮은 CEE 그룹의 MACE 비율이 가장 높았고, 낮은 CV/높은 CEE 그룹의 MACE 비율이 가장 낮았다)
(3) CEE와 상관없이 높은 CV가 독립적인 위험 요소로 나타났다.
즉, 변동계수(CV)가 높을수록 노인 환자의 심혈관 위험 증가가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https://namu.wiki/w/%EB%B3%80%EB%8F%99%EA%B3%84%EC%88%98
변동계수
變 動 係 數 / coefficient of variation 변동계수 또는 상대 표준 편차(relative s
namu.wiki
변동계수(CV)의 의미와 계산 방법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는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계수라고 이름붙이고 표준화하는 방법이라고 하니까 말이 안 맞는 거 같은데, 한번 살펴볼께요. 변동계수가 필요한 때
depotceffio.tistory.com
https://e-cmsj.org/DOIx.php?id=10.51789/cmsj.2024.4.e2
Impact of Cholesterol Variability as a Potential Residual Cardiovascular Risk Factor in the Elderly: Large Multicenter Common Da
Yum Y, et al. Cardiometab Syndr J. 2024 Mar;4(1):22-32. https://doi.org/10.51789/cmsj.2024.4.e2
e-cmsj.org
'Statis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단한 특이치 식별 방법 - 그래프로 확인하기 (0) | 2024.04.18 |
---|---|
통계 분석 방법: 추정(점추정/구간추정) (0) | 2024.04.18 |
통계 분석 방법: 추론 통계학/개요 및 표본분포 (0) | 2024.04.12 |
통계 분석 방법: 기술 통계학/자료의 정리 및 시각화 (0) | 2024.04.12 |
통계 분석 방법: 기술 통계학/자료의 요약 - (3) 왜도와 첨도 (0) | 2024.04.11 |